<特輯 : 韓國 歷史敎科書 發行制度와 改編方向>
張信, 韓末․日帝强占期의 敎科書 發行制度와 歷史敎科書
1. 머리말
2. 한말의 교과서 발행제도와 역사교과서
1) 대한제국 전반기
2) 대한제국 후반기
3.일제강점기의 교과서 발행제도와 역사교과서
1) 제1차 조선교육령기
2) 제2, 3차 조선교육령기
4. 맺음말
朴振東, 解放後 歷史敎科書 發行制度의 推移
1. 序 言
2. 國定․檢定制度 수립기(1945~1955)
3. 初等=國定, 中等=檢定 교과서 발행기(1956~1973)
4.중등 국사교과서의 國定 發行期 (1973~2002)
5.중등 국사교과서의 一部 檢定化(2003 ~현재)
6. 結 語
吳炳守, 中․日 歷史敎科書 發行制度와 運用 實態
1. 서 언
2. 일본의 교과서 발행제도 및 운용실태
1) 일본 교과서 발행제도의 형성 : 검정제의 기원
2)일본교과서 검정제도의 운용과 실태
3. 중국의 최근 교육개혁과 교과서 정책의 추이
4. 결 어
李炳熙, 국사교과서 국정제도의 검토
1. 서 언
2. 국정 발행제의 변천
3. 국정제의 완화와 검정제의 도입
4. 국정제 비판론의 전개
5. 결 어
金裕利, 세계사 교과서 검정제도의 분석
1. 머리말
2. 세계사 교과서 발행제도의 변천
3.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세계사 교과서 검정의 실상
4. 제7차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의 특징과 문제점
5. 세계사 교과서 검정체제의 개선방안
<論文>
徐程錫, 百濟 山城을 통해 본 황산벌전투의 현장
1. 서 언
2. 사료의 검토
3 탄현의 위치비정
4. 황산벌의 위치
5. 결 어
安熙惇, 로마제정 초기 연설교육의 새로운 양상
1. 서 언
2. 제정의 성립과 연설 환경의 변화
3. 모의연설의 유행
1) 공화정 후기의 모의연설
2) 제정 초기 모의연설의 변화
4. 모의연설 비판
5. 모의연설의 교육적 의미
6. 결 어
具學書, 독일 제국말기 사법부 중간직 관리운동의 의의
- 법원서기 연맹의 기관지를 중심으로 -
1. 서 론
2. 법원서기(Gerichtsschreiber)의 임용
3. 사법부 법원서기연맹
1) 연맹의 출범
2) 연맹의 활동
3) 지향
4. 결 론
權五中, 국가적 통일인가, 서방측으로의 통합인가?
- 독일연방공화국(구 서독)의 정부수립과 아데나워 정부의 독일정책결정에 관한 문제 -
1. 머리말
2. 서독의 단독정부수립과 기민당정부의 독일정책에 대한 딜레마
3. 기민당 정부의 독일(통일)정책에 대한 원칙과 입장
4.기민당 정부의 독일(통일)정책에 대한 논쟁
5. 맺음말
<資料>
역사교육 정상화를 위한 설문조사
張信, 韓末․日帝强占期의 敎科書 發行制度와 歷史敎科書
1. 머리말
2. 한말의 교과서 발행제도와 역사교과서
1) 대한제국 전반기
2) 대한제국 후반기
3.일제강점기의 교과서 발행제도와 역사교과서
1) 제1차 조선교육령기
2) 제2, 3차 조선교육령기
4. 맺음말
朴振東, 解放後 歷史敎科書 發行制度의 推移
1. 序 言
2. 國定․檢定制度 수립기(1945~1955)
3. 初等=國定, 中等=檢定 교과서 발행기(1956~1973)
4.중등 국사교과서의 國定 發行期 (1973~2002)
5.중등 국사교과서의 一部 檢定化(2003 ~현재)
6. 結 語
吳炳守, 中․日 歷史敎科書 發行制度와 運用 實態
1. 서 언
2. 일본의 교과서 발행제도 및 운용실태
1) 일본 교과서 발행제도의 형성 : 검정제의 기원
2)일본교과서 검정제도의 운용과 실태
3. 중국의 최근 교육개혁과 교과서 정책의 추이
4. 결 어
李炳熙, 국사교과서 국정제도의 검토
1. 서 언
2. 국정 발행제의 변천
3. 국정제의 완화와 검정제의 도입
4. 국정제 비판론의 전개
5. 결 어
金裕利, 세계사 교과서 검정제도의 분석
1. 머리말
2. 세계사 교과서 발행제도의 변천
3.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세계사 교과서 검정의 실상
4. 제7차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의 특징과 문제점
5. 세계사 교과서 검정체제의 개선방안
<論文>
徐程錫, 百濟 山城을 통해 본 황산벌전투의 현장
1. 서 언
2. 사료의 검토
3 탄현의 위치비정
4. 황산벌의 위치
5. 결 어
安熙惇, 로마제정 초기 연설교육의 새로운 양상
1. 서 언
2. 제정의 성립과 연설 환경의 변화
3. 모의연설의 유행
1) 공화정 후기의 모의연설
2) 제정 초기 모의연설의 변화
4. 모의연설 비판
5. 모의연설의 교육적 의미
6. 결 어
具學書, 독일 제국말기 사법부 중간직 관리운동의 의의
- 법원서기 연맹의 기관지를 중심으로 -
1. 서 론
2. 법원서기(Gerichtsschreiber)의 임용
3. 사법부 법원서기연맹
1) 연맹의 출범
2) 연맹의 활동
3) 지향
4. 결 론
權五中, 국가적 통일인가, 서방측으로의 통합인가?
- 독일연방공화국(구 서독)의 정부수립과 아데나워 정부의 독일정책결정에 관한 문제 -
1. 머리말
2. 서독의 단독정부수립과 기민당정부의 독일정책에 대한 딜레마
3. 기민당 정부의 독일(통일)정책에 대한 원칙과 입장
4.기민당 정부의 독일(통일)정책에 대한 논쟁
5. 맺음말
<資料>
역사교육 정상화를 위한 설문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