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文>
金成子, 교육과정 개발에서 '중립성'과 '전문성'-사회과 통합 논의를 중심으로'
1. 서언
2. 교육과정 총론 개발 논의에 나타나는 '중립성'과 '전문성'
3. 사회과 통합 논의에 나타나는 '전문성'과 '중립성'
4. 결어
趙美映, 해방 후 國史敎科의 社會科化와 '國史科'의 置廢
1. 서언
2. 해방 후 국사교과의 社會科化와 국사교육 정상화의 要求
3.'國史科'의 독립과 교육정책의 추이
4.'國史科' 독립반대와 社會科로 재흡수
5. 결어
李海榮, DBAE 구성영역을 바탕으로 한 국사 교과서 미술사 내용 서술 분석
1. 들어가는 말
2. 예술품을 보는 관점과 DBAE이론
3. 예술성과 역사성 서술의 분석
4. 예술성과 역사성 서술의 결합
5. 나가는 말
柳鏞泰, 日本 歷史敎科書의 동아시아 인식: 脫亞觀念의 지속과 변화
1. 머리말
2. 朝貢과 전근대 동아시아 국제질서
3. 제국일본의 류큐합병과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
4. 동아시아의 민족해방운동
5. 일본의 전후처리와 전쟁책임
6. 맺음말
李英孝, '우리'와 '타자'에 대한 역사교실담론 분석
1. 머리말
2.교실 의사소통의 문화
3.역사교실의 정체성 담론
1)정체성 형성과 국가-민족
2)교실에서의 '우리'와 '타자'
4. 맺음말
徐毅植, 韓国 古代国家의 二重聳立構造와 그 展開
1. 序 言
2. 三韓諸國의 ‘雑居’와 二重聳立構造
3. 辰韓의 二重聳立構造와 斯盧國
4. 二重聳立構造와 時代區分
5. 結 語
金 燉, 世祖代 ‘端宗復位運動’과 왕위승계 문제
1. 서 언
2. 朝鮮初期의 왕위승계 과정
3. 端宗의 즉위와 ‘端宗復位運動’의 배경
4. ‘단종복위운동’의 발생요인과 왕위승계 문제
5. 결 어
廉美炅. 지방사연구에서 구술사의 활용현황과 과제
1. 문제제기
2. 한국에서의 구술자료 정리현황
3. 구술자료의 수집과 관리
4. 지방사연구에서 구술사의 활용방안
5. 맺음말
朴晋熯, 일본의 전쟁기념과 네오내셔널리즘― 러일전쟁 100주년을 돌이켜보며 ―
1. 기념의 정치학
2. 전쟁기념의 상품화와 대중화
3. 기념식과 공적 기억의 형성
4. 국가적 현창과 개인적 추모의 장
5. ‘J국가주의’와 전쟁기념의 교육
<批評論文>
安秉稷, 국제화해와 역사교육 -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說 林>
陳在管,2005년 중등 역사과 공통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내용 체계
1. 머리말
2. 역사교육의 목표와 우리나라 역사 교육 현황
3. 중등 역사과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정 과정
4. 중등 역사과 교육과정의 개정 내용
5. 맺음말
說>
批評論文>
論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