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지/투고         논문총목차

歷史敎育 167輯 (2023. 9. 30.)

조회수 : 757

論 文


‘어려운 역사’ 논의를 통한 역사과 재난교육의 탐색 

- 허리케인 카트리나 참사를 중심으로 -

李  少  恩  - 1


사회가 고도화되고 복잡해지면서 재난 또한 대규모화되고 예측 불가능해지고 있다. 재난에 대한 교육 또한 단순히 방재와 복구에만 초점을 둘 것이 아니라, 우리의 일부로서 과거의 재난을 받아들일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폭력적이고 끔찍한 과거를 마주하면서 여러 교수적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는 어려운 역사를 둘러싼 논의를 토대로 역사교육 현장에서 과거의 재난를 가르치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먼저, 재난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역사교육 영역에서 재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이유를 고찰할 것이다. 그리고 어려운 역사를 둘러싼 다양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어려운 역사 논의가 어떻게 등장하게 되었는지 그 배경을 밝히고, 어려운 역사가 어떤 점에서 어려운지 탐색하였다. 그리고 어려운 역사를 역사 교실에서 효과적으로 다루는 방법을 논의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겠다. 이후 2005년 8월 허리케인 카트리나 참사를 예시로 하여 어려운 역사 논의를 토대로 한 역사과 재난교육의 모습을 구상하였다. 카트리나 참사가 미국 사회에 던진 화두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시민적 대화를 이끌기 위한 일환에서 개발된 《『제방』 가르치기》 교육과정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어려운 역사를 둘러싼 교수·학습적 논의를 토대로 감정에 대한 성찰적 접근과 내러티브에 대한 비판적 사회문화적 접근을 활용한 학습방안을 제시하였다.


 

朝鮮前期 去官의 의미와 去官節次로서의 都目

申  幼  兒 - 49

 

去官은 조선이 관제를 운영해 나간 방식과 관제 개혁의 목적을 파악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이해해야 하는 개념이다. 조선왕조는 官制와 祿制의 운영 체제를 관품 위주로 정비하였는데, 이는 개인이 관직에 入仕한 후 쌓은 경력에 의해 쌓은 散階가 직무수행에 대한 보상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고려조에서는 개인의 散階와 상관없이 관직이 제수되는 경우가 많아 관료조직 내의 位階가 어지러워지는 경향이 있었으므로 이를 바로잡을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관원의 직무수행에 대한 보상은 크게 두 방면으로 이루어졌다. 하나는 給祿과 같은 경제적 측면의 보상이고, 다른 하나는 官職遷轉, 즉 陞職을 통한 것이었다. 급록에는 재정이 소모되고, 관직천전을 위해서는 관직의 빈자리가 필요한데, 양자 모두 관원 수의 증가 속도를 감당할 수 없을 것임은 고려조의 경험에 비추어 보았을 때, 충분히 예견되는 바였다. 

 따라서 조선왕조는 녹봉에 소모되는 국가 재정과 實職의 숫자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현직에 있는 관원들의 직무수행을 권장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했고, 이러한 필요에서 간구된 방안이 遞兒給祿制와 都目去官制의 정비였다. 도목을 통해 거관할 인원수를 조정하고, 거관하여 옮겨갈 자리가 없는 경우 서반군직을 체아직으로 주어 돌아가며 受祿하게 한 것이다.

 도목은 거관대상자를 선정하기 위한 인사행정 절차였고, 거관하게 되면 종전의 관서를 떠나 다른 관서의 더 직품이 높은 직으로 陞職되어 관직을 遷轉할 수 있었다. 도목에서 높은 순위를 받기 위해 가장 중요한 조건은 근무경력, 즉 仕日의 多少였다. 서반군직과 잡직 등 업무수행을 위해 필요한 기능의 숙련도가 중시되는 직종에서는 仕日이 특히 중요했다. 

 물론, 관직의 과궐은 항시 제한되어 있었으므로 거관되었다고 해서 모두 陞職遷轉되는 것은 아니었다. 정부는 거관사로의 확대를 위해 서반 군직을 체아직으로 가져와 거관자를 체아직으로 천전시키거나, 影職 또는 散官職 등을 제수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虛銜職을 받은 자들의 숫자가 늘어나면서, 군역담당자의 수가 줄어들어 양역변통의 필요성이 증대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나, 본 연구에서는 다루지 못하였다. 다음 연구과제로 남겨두도록 하겠다.

 


淸末民初 “歷史敎授” 개념의 도입과 변용: 1904~1921

鄭  世  蓮  - 83

 

서구 근대 학제 도입 이후 등장한 ‘역사교수’ 개념에 대해 정부의 정책, 방법론을 중심으로 한 이론적 연구, 교안을 통한 현장에의 적용 사례를 살펴보았다. 청말 근대 학문으로서의 역사와 교육학이 자체적으로 연구되지 않은 상황에서 중국의 역사 교과는 정책과 교수이론, 개념과 용어 등을 상당 부분 일본의 기존 성과에 의존하였다. 서구로부터 이론이 소개되지 않았던 것은 아니나 국가주의를 지향하던 중국의 실정상 공민으로서의 개인적 가치를 논하는 서구의 이론보다 서구의 이론을 천황 중심의 국가체제에 맞게 변용한 일본의 이론이 상대적으로 유용하였기 때문이다. 이는 중국으로 도입되면서 충군과 애국을 강조하는 국가주의의 강화로 또다시 변용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역사교수 역시 주체적인 수업 설계보다는 국가의 교육이념에 적합한 방향으로 역사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강조되었다. 따라서 역사교수의 실체에 대한 명확한 정의 없이 ‘가르치는 방법’의 측면에 논의가 집중되었다. 장정의 반포와 함께 역사를 가르쳐야 한다는 당위성이 설정되고, 그 당위성을 어떻게 수업에서 잘 구현할 것인가의 문제가 주로 논의되었으나 여전히 역사 교과의 특성에 대한 고려는 전무하였다. 

신해혁명 이후 본격적인 근대화가 시작되었으나 국가주의는 여전히 유효하였다. ‘공화국 국민’과 ‘도덕 교육’이 새롭게 교육 목표로 부상하였으나 개인은 여전히 국가의 구성원으로서 우선적으로 논의되었다. 교과로서의 역사 역시 그 교수 목표가 이에 합당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역사 교과의 특성을 강조하고자 하는 움직임, 교수배경지식의 증가로 인한 교수법의 다양화, 교사의 역할을 강조하는 연구 등이 활성화되면서 ‘역사를 가르치는 것’의 의미 역시 확장되어 나갔다. ‘teaching’을 넘어 ‘instruction’으로 나아가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교육학과 역사학의 물리적 결합이라는 측면은 여전히 극복되지 못하였다는 점은 한계로 작용하였다.




批評論文 


한국 교육의 전통과 사범교육의 진로

      朴  平  植 - 12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교육체제를 상징하는 '사범'이라는 용어의 의의를 재검토하고 근대 이후 교사교육의 역사와 향후 전망을 개괄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사범은 단순한 스승이 아니라 학문과 교학을 통해 학문과 품행, 도덕의 최고 수준을 달성해야 하는 교육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과거는 물론 오늘날에도 사범은 학문과 교육을 위한 다양한 전제조건과 윤리적 가치를 결합한 총체적 구현을 일관되게 구현해왔다.

1895년 조선 정부는 전통적인 사범의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한성사범학교를 설립하고 교사교육의 근대화된 접근법을 모색했다. 사립 교사 양성 학교도 교육자들의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는데, 일제 강점기에 이 소중한 한국 교사교육의 전통은 깨졌다. 1922년 일본이 설립한 경성사범학교는 일왕에게 충성하고 군국주의적 이념을 따르는 교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 우리의 '사범'을 일본의 '사도'로 대체했다.

1945년 해방 후 사범학교와 사범대학이 설립되어 초중등학교 교사를 양성하게 되었고, 이로써 우리 전통의 '사범'이 부활하고 확장되었다. 이후 산업화에 따라 교원교육기관은 더욱 확대되었고, 1990년에는 교원자격증 시험이 도입되었다. 오늘날 한국교육은 다양한 과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고 미래사회에 적합한 새로운 교수역량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교사교육에 대한 새로운 목적의식, 즉 사범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書 評


클라우스 뮐한(윤형진 역), 『현대 중국의 탄생‒청제국에서 시진핑까지』, 너머북스, 2023

현대 중국: 부흥을 향한 제도 구축의 대장정

姜  抮  亞 - 157

 


資料紹介


美 대통령 딸의 1905년 아시아 순방에 대한 회고 - 앨리스 루스벨트 롱워스(Alice Roosevelt Longworth), 『혼잡한 시간들(Crowded Hours), Charles Scribner’s Sons, 1933, 5~6장 번역 - 

      金  泰  雄·千  世  彬 - 169




附 錄


역사교육연구회 글로벌 콜로키움 참관기

대화를 통한 역사 학습 공간을 마련하다 - ‘과거를 기억한다고?(Remembering the Past?)’ 교육과정 -

吳  侑  宣 - 201



彙 報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