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文
李景植, 「新羅時代 祿邑制의 施行과 그 推移」
1. 序言
2. 祿邑의 實體와 語義
3. 三國期 齊民的 租稅制度의 定立과 祿邑制의 施行
4. 統一期 祿邑의 廢止와 復設
5. 祿邑制의 運用과 羅末麗初의 祿邑問題
6. 結語
梁正鉉, 「大韓帝國期 ‘傳’類 歷史書와 그 歷史觀」
1. 序言
2. 歷史敍述에서 ‘傳’의 傳統과 繼承
3. ‘傳’類 歷史書의 두 系列과 類型
1) 列傳 系列의 人物傳
2) 外來 英雄主義 系列의 偉人傳記
4. ‘傳’類 歷史書의 歷史認識
5. 結語
鄭技抆,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제정 개혁
- 예산개념의 도입과 형평성 제고를 중심으로 -」
1. 서언
2. 새로운 조세산정 단위의 도입
3. 예산 개념의 도입
4. 형평성의 제고
5. 결어
金澤賢, 「‘서발턴의 역사(Subaltern History)’와 제3세계의 역사주체로서의 서발턴」
1. 머리말
2. 민족 혹은 계급 : 본질주의적 주체형태
3. 서발턴의 개념에 관한 두 시각
1) 구하 : 자율적 주체로서의 서발턴과 서발턴 의식
2) 스피박 :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
4. ‘차이’와 서발턴의 역사
5. 맺음말
企劃論文
洪成杓, 「서양중세사의 연구동향과 중등학교 교육과정」
1. 머리말
2. 초창기의 서양중세사 연구 동향
3. 성장기의 서양중세사 연구 동향
4. 발전기의 서양중세사 연구 동향
5. 교육과정의 문제점 - 서양중세사 부분
6. 맺음말
特別寄稿
宋起炯, 「‘창경궁박물관’ 또는 ‘李王家박물관’의 연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