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文
崔祥勳,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범주와 역사학습목표의 설정방안」
1. 머리말
2. 역사적 사고력의 의미
3.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범주
4. 역사학습목표의 설정방안
5. 맺음말
李美薇, 「역사가의 사고과정이 드러나는 서술의 특징과 교재개발 방향」
1. 序言
2. 역사학의 構成的 特性과 歷史 敍述
3. 역사가의 사고과정이 드러나는 서술의 특징과 사례 분석
4. 사고과정이 드러나는 서술의 교재 활용 가능성
5. 結語
金鍾洙, 「高麗時期 府兵制의 運營과 그 原則」
1. 序言
2. 府兵의 여러 칭호
3. 府兵의 임무와 활동
4. 府兵에 대한 統制
5. 結語
姜聲姬, 「17世紀 校生考講의 制度化와 그 運營」
1. 序言
2. 兩亂後 鄕校의 整備와 校生考講制의 作定
3. 校生考講强化論議와 考講事目의 頒布
4. 考講事目의 施行과 額外校生의 處理問題
5. 免講帖의 發行과 考講原則의 緩和
6. 結語
說林
河世鳳, 「동양사 강의의 일례 : 가르치는 강의에서 대화하는 강의로」
1. 말머리에
2. 나의 강의이력
3. 텍스트로서의 강의, 안내자로서의 대학교사
4. 토론방식의 실례
5. 남아있는 문제
역사교육연구회 추계학술대회
주제 : 역사과 교수-학습의 새로운 패러다임
1. 구성주의 학습을 위한 역사교과서 내용구성방안 --------------최용규(교원대)
․토론 : 이찬희(한국교육개발원)
2. 역사교육과 감정이입의 문제
-영국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조승래(청주대)
․토론 : 김한종(교원대)
3. 세계사교육의 가능성과 방향 ------------------------------이영효(광주대)
․토론 : 김창성(공주대)
4, 역사과 교수-학습의 인식론적 전환 -------------------------양호환(서울대)
․토론 : 송상헌(성동기계공고)
5. 역사학습에서의 표현형식의 전통과 재창조 -------------------김환수(서울대)
․토론 : 이미미(서울대)
6. 역사교과의 탐구학습이론 수용-연구성과와 탐구과제 -----------방지원(백석중)
․토론 : 박진동(덕수정보고)
종합토론
彙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