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文>
梁豪煥, 역사교육의 목적을 다시 묻는다
1. 서언
2. 역사교육의 목적에 관한 기존의 논의: 사례와 특징
3. 목적 논의의 명암
4. 다른 관점과 질문
5. 결어
王賢鐘, '수정판’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개편내용과 근대사 서술 비판
1. 머리말
2. '수정판' 국사교과서의 근현대사 편제와 시대구분
3. 근대시기 텍스트의 서술 변화와 문제점
4. '수정판' 교과서의 근대사 서술 담론
5. 맺음말
丁慶姬, 세계사 텍스트 속의 미국-
<살아있는 세계사 교과서>
를 중심으로 -
1. 머리말
2. 아메리카의 독립과 미국의 탄생 부분
3. 남북전쟁 부분
4. 대공황 부분
5. 제2차 세계대전 및 전후의 냉전 부분
6. 베트남 전쟁 부분
7. 맺음말
李仁在, 金富軾과 朴浩·林存의 義天 評價
1. 서언
2. 영통사비 사적기의 분석
3. 박호, 김부식, 임존의 의천 평가
4. 맺음말
韓政洙, 고려후기 天災地變과 王權
1. 머리말
2. 천변재이의 발생 양상
3. 소재 노력과 기양
4. 천인감응적 천명관과 왕권
5. 맺음말
崔柄澤, 日帝下 朝鮮總督府의 森林共用權 정리와 面有林 창출 시도
1. 머리말
2. 강점 직전 삼림공용권 정리 문제
3. 조선총독부의 삼림공용권 정리 시도
4. 조선인의 대응
5. 맺음말
廉仁鎬, 中國 延邊의 ‘反奸淸算鬪爭’과 土地改革(1946) - 朝·中 民族 關係를 中心으로 -
1. 머리말
2. 청산투쟁의 개시와 공지분배
3. 토지개혁과 청산투쟁의 전개
4. 맺음말
李琪榮, 서유럽 중세 초기 노예제사회로부터 농노제로의 이행과정
1. 머리말
2. 중세 초의 서유럽 사회는 노예제 사회였는가?
3. 부자유인과 농노화 과정
4. 자유인의 농노화 과정과 통합적인 농노계급의 형성
5. 맺음말
權五中, 초기 관계발전과정에서 나타난 독일연방공화국과 대한민국의 외교적 갈등과 그 해결과정(1956~1961) - 독일연방공화국의 외무부 미공개 사료에 근거하여 -
1. 머리말
2. 교환대표부의 지위문제에 대한 이해차이와 서독정부의 입장변화
3. 경제협력의 장애요인
4. 5.16 쿠데타와 베를린장벽 건설 그리고 반전
5. 맺음말
<書評>
姜鮮珠, 韓哲昊 譯,
<역사적 사고와 역사교육>
<彙報>彙報>
역사적>
書評>
살아있는>
論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