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 文]
역사교육의 최종 목표와 역사적 통찰력
鄭 善 影
1. 서언
2. 역사교육의 일반적 목적
3. 역사교육의 최종 목표 논의
4. 역사교육의 최종 목표로서의 역사적 통찰력
5. 결어
역사교육의 목적과 초등학교 교사의 역사교육관
姜 鮮 珠
1. 머리말
2. 역사교육의 목적과 초등교사가 추구하는 역사교육
3. 맺음말
우리나라 대학의 세계사 교육의 문제와 개선방향
金 悳 洙
1. 머리말
2. 세계사에 대한 기존의 인식과 변화
3. 우리나라 대학에서의 세계사 교육 실태
4. 대학에서의 세계사교육의 개선을 위한 논의들
5. 대학에서의 세계사 교육: 앞으로의 과제
新羅 中古期 花郞徒의 敎育과 出仕
朴 南 守
1. 머리말
2. 화랑도의 교육이념과 世俗五戒에 대한 存疑
3. 중고기 교육의 실상과 화랑도 교육
4. 화랑도의 出仕와 그 성격
5. 맺음말
宣祖朝의 對明 人蔘貿易과 人蔘商人
朴 平 植
1. 序 言
2. 朝鮮人蔘의 需要增大와 把蔘
3. 中江開市와 人蔘私貿易의 擴大
4. 人蔘商人의 構成과 活動
5. 結 語
티베리우스 황제 집권 초기 왕조 지배 이념 강조의 정치적 배경
安 熙 惇
1. 서언
2. 티베리우스의 제위 계승과 아우구스투스 독살설
3. 아우구스투스에 대한 티베리우스의 태도
4. 게르마니쿠스와 왕조 지배 이념의 강조
5. 결어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의 가능성과 한계
鄭 鉉 栢
1. 글머리에 부쳐
2. 그간의 역사서술에 대한 비판
3.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의 이론과 구성
4. 비교와 轉移
5. 비판과 재성찰
[批評論文]
『한국 근․현대사』교과서에 실린 사료의 비교 분석과 제시 방안
朴 振 東
[書 評]
손병규 著,
『조선왕조 재정시스템의 재발견 ― 17~19세기 지방재정사연구』
權 奇 重
[彙 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