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역사교육연구회입니다.
오는 5월 24일 토요일 서울대학교에서 개최되는,
역사교육연구회 70주년 기념 2025년 춘계학술대회의 일정을 다음과 같이 안내드립니다.
1. 주제: 역사교육의 쟁점과 과제 ― 역사교육과 학문, 교실, 사회의 상호작용
2. 일시: 2025. 5. 24.(토) 09:30~18:10
3. 장소: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10-1동 101호
※ 초대의 글
1955년 한국 역사교육의 기수로 발족한 역사교육연구회가 올해로 70주년을 맞이하였습니다. 그동안 본 연구회는 역사와 교육의 두 주춧돌 위에서 역사교육 이론, 초·중등·고등 역사 수업 현장, 역사교육 정책 등 제 분야에 걸쳐 연구와 실천을 이어오면서 역사교육의 성장과 외연 확장에 선도적 역할을 해 왔다고 자부합니다. 이러한 성장은 역사교육계의 내적 성찰과 연구자·교육자의 꾸준한 노력과 협력이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나아가 역사교육 연구와 실천은 한국의 정치·사회·경제 발전에 조응하는 동시에 새로운 발전 동력을 형성해 왔습니다.
오늘날 디지털과 인공지능(AI) 기술의 비약적 진전 속에서 역사교육은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구글 지도,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디지털 플랫폼의 일상화는 물론, AI의 대두는 지식의 생산과 유통, 교육방식 전반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그것은 교사, 학생, 교육기관과 상호작용 방식을 새롭게 뒤바꾸고 있습니다. 2025년부터 적용될 「2022 개정 교육과정」이 디지털 소양과 정보 활용 능력을 미래 세대의 핵심 역량으로 설정한 것도 이러한 시대 흐름의 반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AI 시대에 역사를 어떻게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의 문제는 역사교육의 중요한 현안이 아닐 수 없습니다. 『역사교육』 창간사(1956)에서 언급된 “교육은 필경 교실과 교사를 통한 하나의 실천”이라는 명제를 다시 새겨야 할 때입니다.
이러한 인식하에 본 연구회는 창립 70주년을 맞이하여 「역사교육의 쟁점과 과제 ― 역사교육과 학문, 교실, 사회의 상호작용」이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마련하였습니다. 한국 역사교육 학계와 교육계가 그간 무엇을 어떻게 탐구하고 실천했고 학생·교사·학부모·연구자·교육기관·사회가 어떻게 상호작용해 왔는지 반추하며 역사교육의 연구와 실천을 향한 새로운 디딤돌을 놓고자 합니다.
이번 학술대회는 크게 3개 세션으로 구성됩니다. 제1부는 원로 회원의 회고와 사진·영상으로 역사교육연구회가 걸어온 역정을 돌아보는 기념과 축하의 자리가 될 것입니다. 제2부 학술 세션은 학문, 사회·정치, 중등 역사교육의 세 시각에서 역사교육의 역동적 학술·실천 여정을 진단합니다. 제3부 종합토론에서는 학회 참가자 전원이 함께 역사교육의 중대한 의제를 제시하고 다채로운 논의를 나누고자 합니다.
역사교육의 70년을 성찰하고 앞으로의 발전을 전망하는 이 뜻깊은 학술의 장에 학계 원로를 비롯한 연구자, 교육자 여러분을 정중히 초대합니다. 부디 많은 분이 함께하시어 역사교육의 새로운 이정표를 모색할 수 있기를 고대합니다. 회원 선생님과 관심 있는 분들의 성원과 동참을 부탁드립니다.
환영합니다. 감사드립니다.
2025년 5월 9일
역사교육연구회 회장 구난희 근배
※ 세부 일정 및 포스터
※ 찾아오시는 길
- 주소 :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10-1동 101호
- 대중교통 : 지하철 2호선 낙성대역 4번 출구로 나와서 '관악02' 마을버스 탑승, '기숙사삼거리' 정류장 하차
- 문의 : 역사교육연구회 사무실(02-880-7708)
학술대회와 관련하여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언제든 연락 주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역사교육연구회 드림